주민등록등본 초본 차이점, 인터넷 무료 발급 방법

신규 입사나, 이사, 변화가 생길 때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주민등록 등본은 생각보다 필요합니다. 동사무소나 무인발급기를 사용해 발급받을 수 있지만 온라인으로 수수료 없이 무료로 편리하게 발급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주민등록등본과 초본의 차이점과 온라인 발급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의 차이점

1. 주민등록등본 : 한 세대의 모든 구성원의 주민등록 사항이 표시 되며, 세대별로 작성됩니다. 즉 본인이 어디에서 누구와 함께 살고 있는지를 표시해 줍니다.

2. 주민등록초본 : 개인별로 발급되는 문서로 한 사람의 자세한 주민등록 사항이 표시됩니다.

 

인터넷 무료 발급 방법 : 정부 24

가장 많이 알려진 무료 신청 방법으로,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수수료는 1통에 400원이나, 인터넷으로 발급받을 때는 무료 이므로, 발품도 팔지 않고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회원, 비회원 모두 발급이 가능하나 간편 인증이 필요합니다.

 

정부 24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www.gov.kr/portal/main/nologin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의 서비스, 민원, 정책·정보를 통합·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포털

www.gov.kr

대한민국 정부24 사이트

 

 

 

정부 24 사이트에 들어가면, 자주 찾는 검색에도 바로 주민등록등본이 확인됩니다.

자주 찾는 검색에서 바로 눌러서 접속도 가능하며, 검색창에 "주민등록"으로 검색도 가능합니다.

 

 

 

 

메인화면을 놓쳤다면, 상단 메뉴에서 서비스 > 신청, 조회, 발급 메뉴를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다 보니, 스크롤을 내려 확인도 가능하나 간단하게 "주민등록"으로 검색어를 입력하여 찾으면, 발급하기 버튼이 나오면, 해당 버튼을 누르고 들어가면 됩니다.

 

주소확인 및 발급 형태 (기본형 태인 발급으로 누르면 되지만, 원하는 내용이 있을 경우 선택 발급이 가능하다)를 누르고,

수령 방법을 선택하면 민원신청이 가능합니다.

 

 

 

민원 신청을 하면, 인증이 필요한데, 공동/금융인증서도 가능하지만, 간단하게 카카오톡이나 네이버 인증서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더욱 편리하게 발급이 가능합니다.

 

카카오톡으로도 발급이 가능한 주민등록등본

전 국민이 사용한다고 해도 이제는 카카오톡에서도 간편하게 발급이 가능합니다. 주민등록등본을 카카오톡에서 5초 만에 톡으로 받을 수 있고, 제출까지 한 번에 할 수 있어 주민센터에 갈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카톡 -> 설정 -> 지갑으로 들어가서 신청이 가능하며, 주민등록등본뿐 아니라, 주민등록초본, 코로나19 예방접종증명서, 초중고 졸업증명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및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운전경력증명서까지 발급이 가능합니다.

반응형